키움증권 밸류에이션 PER 3.13배로 동종 업계 증권사들보다 낮다. 물론, 리테일에 치중된 수익 구조(리테일 70%)로 인해서 성장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시장에서 키움증권의 밸류에이션을 낮게 측정한 이유라고 생각한다. 하지만, 리테일 수익 구조의 가장 큰 부분은 개인 신용 대출이다. 이 신용대출은 증권사의 자기자본의 100% 내에서 이루어져야하는데, 키움증권는 국내 점유율이 비슷한 미래에셋증권보다 자본금이 낮아서 개인 신용 대출이 미래에셋증권(6조)보다 낮은 4조 정도이다. 즉, 키움증권이 자본금이 늘어나는대로 개인 신용이 더 늘어날 수 있다. 심플하게, 키움증권은 개인 신용 대출로 매년 4,000억원은 벌 수 있다. 거기에 리테일 수수료(해외 주식, 환전, 해외 파생)수수료로 적어도 1년에 1,000억은 벌 수 있다. 그리고 IB와 세일즈 트레이딩에서 500억 번다고 가정하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1년에 5,500억은 무조건 벌 수 있는 구조 현재 시총이 3조 정도이니, 아무리 보수적으로 수익을 잡아도 PER가 6배가 안되는 상황 자본금 8조에 미래에셋증권 시총이 5.6조이고 키움증권이 1년에 5,500억씩 7년만 벌면 미래에셋과 자본금이 동일해진다. 7년안에 미래에셋 시총 정도는 되지 않을까?